비영리 법인 세금계산서 발행 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

비영리 법인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때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들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비영리 법인 세금계산서 발행 시에는 영리 법인과는 다른 규정들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우선 비영리 법인은 부가가치세법상 면세사업자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 발행 시 부가가치세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대신 세금계산서 하단에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라는 문구를 반드시 기재해야 합니다.
또한 비영리 법인 세금계산서에는 법인 고유번호를 사업자등록번호 란에 기재해야 합니다. 이는 국세청에서 비영리 법인을 관리하기 위해 부여하는 고유한 식별번호입니다.

한편, 비영리 법인도 기부금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기부금 영수증은 기부자가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기부금 영수증 발행 시에는 기부자의 인적 사항과 기부 금액 등을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 구분 | 세금계산서 | 기부금 영수증 |
|---|---|---|
| 발행 대상 | 재화 또는 용역 공급 | 순수 기부금 |
| 발행 목적 | 거래 사실 증명 | 기부금 공제 증빙 |
| 의무 발행 | 공급가액 3만원 이상 | 기부자가 요청 시 |
비영리 법인은 고유목적사업 외에 수익사업을 겸영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수익사업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는 법인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수익사업과 관련된 세금계산서 발행 시에는 일반 영리 법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세금을 절약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세금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다." - 존 D. 록펠러
비영리 법인의 경우 까지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하지만 전자세금계산서 도입이 세금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므로, 자발적인 도입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마지막으로 비영리 법인은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증 발급 후에는 세금계산서 발행과 관련된 제반 의무사항들을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 법인 설립 후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 사업자등록 신청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 국세청 홈택스에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 전송
- 매년 4월 30일까지 법인세 신고 및 납부
자주 묻는 질문(FAQ)

Q1. 비영리 법인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나요?
비영리 법인의 고유목적사업과 관련해서는 세금계산서 발행 의무가 면제됩니다. 하지만 수익사업을 겸영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과 관련된 거래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합니다.
Q2. 기부금 영수증 발행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기부금 영수증에는 기부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기부일자, 기부금액 등을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또한 기부금 영수증은 기부자별로 작성하고 원본을 기부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Q3. 비영리 법인의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시기는 언제인가요?
현재 비영리 법인은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다만 2025년 부터는 비영리 법인도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info
Related Posts
- 3일 ago
- 5일 ago